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의 극한강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관측을 바탕으로 관련된 종관패턴

by dkfhdl 2023. 1. 14.
반응형

한국의 극한강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관측을 바탕으로 관련된 종관패턴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발생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한 선행연구가 다수 있다. 한국의 여름은 습윤하고 온난한 공기의 이류가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동아시아 여름몬순의 영향과, 적도로부터 강력한 바람과 비를 몰고 북상하는 태풍의 영향으로 주로 여름철에 집중된 특징을 보인다.


Rha et al. (2005)에서는 1973-2002년까지 총 30년의 전국 61개 관측소의 강수자료를 기상청의 강수유발 기압패턴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각 사례의 강수강도 및 발생빈도를 분석하여 한반도의 주요 호우패턴으로 장마형, 저기압형, 태풍 직접형, 태풍변질형, 열대수렴형을 제시하였다. Lee et al. (2010)에서는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호우가능 지역과 호우강도를 결정하기 위한 호우사례 개념모델을 구성하였다. 해당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에서의 콤마형 구름발달을 기준으로 호우발생일을 종관저기압 (Synoptic Low, SL) 형과 종관흐름수렴(Synoptic Convergence, SC) 형으로 분류하였다. SL형의 경우 장마, 중위
도저 기압, 상층제트의 남하 및 건조공기 유입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SC형은 상층 한랭저기압의 골의 전면에서의 한랭이류, 태풍의 북상, 북태평양고기압의 확장 및 열대류 수렴으로 정의하였다. Jung et al. (2015)에서는 비교적 장기간 (1997-2013)에 거쳐 누적된 라디오존데 자료를 활용하여 집중호우 시의 대류가용잠재에너지 (Convective
available potential energy, CAPE)와 스톰상대연직와도 (Storm relative helicity, SRH)를 기준으로 하여 호우 유형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태풍, 장마전선, 장마전선상의 저기압이 역학적 불안정에 기인하는 유형으로, 이동성 저기압, 기압골에 의한 발생유형이 열적-역학적 불안정의 결합유형으로, 그리고 고기압 가장자리 유형이 열적 불안정이 강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하지만 일기도를 기준으로 기압패턴을 눈으로 분류한 점과, 한반도의 극한강수에서 CAPE와 SRH 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극한강수사례가 다수존재하고 결합유형의 경우 분포의 폭이 커, 해당 분류방법으로는 극한강수 예보에 활용하는 데
에 한계가 있음을 보였다. 구름의 형태에 따라서는 Lee and Kim (2007)은 레이더와 AWS (Automatic Weather Station)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호우 유형을 고립형 뇌우, 대류밴드, 스콜선, 구름 무리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는데, 구름무리형이 47%, 대류밴드 형이 27%, 고립형 뇌우와 스콜선형이 각각 12%와 7%를 차지한다고 하였다.


Song and Sohn (2015)에서는 한반도 호우시 나타나는 구름의 유형을 차가운 구름 와 온난한 구름형으로 분류하여 한반도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고도가 낮은 온난한 구름형 위주의 강수도 깊은 대류에서 나타나는 호우와 같이 강한 호우를 일으킬 수 있음을 보였다.

반응형

댓글